티스토리 뷰

반응형

File 

Definition

가장 많이 접한 스토리지 종류로 hierarchy와 extension이 존재합니다.

그래서 필요한 데이터 엑세스하기 위해선 그 데이터의 경로를 알아야 합니다. 

 

Pros

  • 가장 익숙한 스토리지 방식
  • Access 권한 유저 레벨에서 설정 가능

 

Cons

  • 스토리지 용량이 커질수록 비용 증가
  • Unstructured Data를 저장하기 힘듬

Block

Definition

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나누어 저장하는 방식입니다. 

각 블록당 고유 식별자를 부여 받게 되며 원하는 위치에 저장을 할 수 있습니다. 

단일 경로에 저장하는 것이 아니기에 검색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인 저장 방법입니다. 

block 을 SAN 에 저장 가능합니다.

(e.g. AWS EBS)

Pros

  • 빠른 속도
  • 높은 신뢰성
  • 수정하기에 용이

 

Cons

  • 비용의 증가
  • 메타데이터 처리 기능의 제한으로 인한 개발자 업무 부담 증가
  • 검색에 적합하지 않음

Object Storage

Definition

파일들을 작게 나누어 여러 하드웨에 분산되는 평면적 구조를 가진 스토리지

모듈 단위로 동작하며,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.

API를 통해서만 엑세스와 관리가 가능합니다. 

(e.g. AWS S3)

 

Pros

  •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저장에 적합
  • 확장성에 용이
  • 메타데이터 사용으로 인한 검색 능력 상승

 

Cons

  • 오브젝트 수정이 불가능
  • 타 스토리지에 비해 느린 속도

 

더 자세한건 구글 클라우드 블로그에 있으니 확인하시면 됩니다.

https://cloud.google.com/blog/topics/developers-practitioners/map-storage-options-google-cloud

반응형

'Developmen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git] Git config 분리하기  (0) 2023.03.04
[SSH] SSH Agent Forwarding  (0) 2023.02.27
[vpn] vpn - 1  (0) 2021.04.25
[Book Review] 실전 아파치 카프카 리뷰  (1) 2021.04.18
[Book review] 처음배우는 셸 스크립트  (2) 2021.03.20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10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
반응형